자궁경부암은 여성에서 두 번째로 흔한 악성 종양이며,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경부암의 발생 과정은 정상 상피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인 병리학적 변화를 거쳐 침윤성 암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과정은 세포병리학적으로 명확한 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마다 특징적인 세포 변화가 관찰된다. 본 글에서는 자궁경부암의 진행 과정을 세포병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진단 및 치료적 접근에 대한 최신 지견을 소개하고자 한다.
1. 정상 자궁경부 상피의 구조와 기능
자궁경부는 크게 편평상피(squamous epithelium)와 원주상피(columnar epithelium)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두 조직이 만나는 구역(transformation zone, TZ)에서 대부분의 병리적 변화가 발생한다.
- 편평상피: 다층 구조를 이루며, 기저층(basal layer), 중간층(intermediate layer), 표층(superficial layer)으로 구성된다.
- 원주상피: 단층 구조를 가지며 점액을 분비하는 역할을 한다.
- 전이대(Transformation Zone, TZ): 자궁경부암의 전구 병변이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부위로, HPV 감염에 취약하다.
정상 자궁경부 세포는 세포핵과 세포질의 비율이 일정하며, 명확한 핵막과 균일한 염색질 분포를 가진다. 그러나 HPV 감염 및 기타 자극 요인에 의해 세포의 형태와 기능이 변화하게 되며, 이로 인해 병리적 진행이 유발된다.
2. 자궁경부암 전구 병변: 자궁경부상피내신생물(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HPV 감염이 지속될 경우, 정상 세포는 점진적인 병리학적 변화를 거쳐 자궁경부상피내신생물(CIN)로 진행할 수 있다. CIN은 세포의 이형성(dysplasia) 정도에 따라 1~3단계로 구분된다.
CIN 1 (경증 이형성, Low-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LSIL)
- 기저층에서 상피의 1/3 이하에 이형성 세포가 존재
- 코일로사이트(koilocytes) 형성: HPV 감염의 대표적인 세포학적 특징
- 핵의 비대 및 염색질 응축
- 대부분 자연 소멸되며, 추적 관찰이 주요 관리 방법
CIN 2 (중등도 이형성, High-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HSIL)
- 이형성 세포가 상피의 2/3까지 확장
- 핵-세포질 비율 증가 및 비정형적 핵분열상 관찰
- 세포질 감소 및 분화 장애
- 치료적 개입(원추절제술 등)이 필요한 단계
CIN 3 (중증 이형성 및 상피내암, HSIL)
- 이형성 세포가 상피 전층을 덮음
- 세포분열 증가 및 다극성(multipolar) 분열 관찰
- 암 전단계로 간주되며, 치료적 절제가 필요
이 단계에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CIN 3은 결국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
3. 침윤성 자궁경부암(Invasive Cervical Cancer)의 병리학적 특징
자궁경부암이 침윤성을 띠게 되면, 기저막(basement membrane)을 파괴하고 기질(stroma)로 확산되기 시작한다. 이 단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포학적 및 조직학적 변화가 관찰된다.
- 암세포의 구조적 비정형성: 세포 크기와 모양이 불균일하며, 다핵 거대세포(multinucleated giant cells)가 나타날 수 있음.
- 비정상적인 핵분열(Atypical mitosis): 병적 유사분열상이 다수 관찰되며, 분열축이 불규칙함.
- 기저막 파괴 및 혈관 침윤: 종양이 기질을 침범하면서 신생 혈관(neovascularization)이 형성됨.
- 림프절 전이: 진행된 단계에서는 골반 림프절을 통해 원격 전이가 가능함.
침윤성 자궁경부암은 주로 편평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과 선암(Adenocarcinoma)으로 구분된다. 편평세포암은 80~90%를 차지하며, 비정형 편평세포가 주요 소견으로 나타난다. 반면, 선암은 자궁경부관(endocervical canal)의 원주상피에서 기원하며, 점액분비 성질을 가진다.
4. 자궁경부암의 진단 및 치료적 접근
진단 방법
- 세포진검사(Pap smear): CIN 및 초기 자궁경부암 진단에 사용됨.
- HPV DNA 검사: 고위험군 HPV 감염 여부를 확인.
- 조직생검(Biopsy): 확진을 위해 필수적이며, 세포병리학적 평가가 이루어짐.
- 면역조직화학검사(IHC): p16, Ki-67 등의 바이오마커를 통해 종양 세포의 증식 능력을 평가.
치료 전략
- CIN 1: 자연 회복 가능성이 높아 정기적 추적 관찰.
- CIN 2, 3: 원추절제술(conization) 또는 고주파 절제술(LEEP) 시행.
- 침윤성 암: 종양 크기와 병기에 따라 수술(근치적 자궁절제술), 방사선 치료, 항암요법 적용.
- 예방: HPV 백신 접종(가다실, 서바릭스)으로 고위험 HPV 감염 예방 가능.
결론: 조기 발견과 예방의 중요성
자궁경부암은 점진적인 세포병리학적 변화를 거쳐 발생하며, CIN 단계에서 조기 발견 시 치료가 가능하다. 따라서 정기적인 Pap 검사와 HPV 검사가 필수적이며, HPV 백신 접종을 통해 발병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세포병리학적 진단은 자궁경부암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는 핵심 도구이며,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치료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지속적인 연구와 기술 발전을 통해 자궁경부암의 조기 진단과 치료가 더욱 정밀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타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 진단에서 세포병리학의 역할 (0) | 2025.04.05 |
---|---|
일반인도 이해할 수 있는 세포병리학 (0) | 2025.04.05 |
저위험 vs 고위험 HPV, 병리학적 차이 분석 (0) | 2025.03.27 |
임플란트 vs 브릿지 (장점, 단점, 유지 관리) (0) | 2025.03.23 |
충치의 진행 과정과 치료법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