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건강 정보

저위험 vs 고위험 HPV, 병리학적 차이 분석

by ziozia22 2025. 3. 27.

저위험, 고위험 hpv 차이 분석

 

인유두종바이러스(HPV)는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감염된 HPV의 유형에 따라 병리학적 진행 과정이 다르게 나타난다. HPV는 크게 저위험군과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며, 이는 유전적 변이, 암유발 가능성, 세포 변화 양상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본 글에서는 저위험 HPV와 고위험 HPV 감염 시 나타나는 자궁경부 세포병리학적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 그에 따른 임상적 의미를 설명하고자 한다.

1. HPV의 분류 및 병리학적 특징

HPV는 약 200여 개의 유형이 존재하며, 그중 40여 개가 생식기 감염을 유발한다. 일반적으로 HPV는 암 발생 위험도에 따라 저위험군(Low-risk HPV)과 고위험군(High-risk HPV)으로 나뉜다. 저위험군에는 HPV 6, 11형 등이 포함되며, 주로 생식기 사마귀(Condyloma acuminatum)나 경미한 세포 이상을 유발한다. 반면, 고위험군에는 HPV 16, 18, 31, 33, 45형 등이 포함되며, 지속적인 감염 시 자궁경부 상피내종양(CIN) 및 자궁경부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크다.

저위험 HPV 감염 시 자궁경부 세포는 경미한 이상 소견을 보이며, 세포핵의 비정형적 변화는 제한적이다. 반면, 고위험 HPV 감염 시에는 세포핵의 비대, 핵-세포질 비율 증가, 코일로사이트(koilocytosis) 형성이 두드러진다. 특히, 고위험군 HPV는 E6, E7 온코프로테인을 발현하여 세포주기의 조절을 방해하고, p53 및 Rb 종양억제유전자의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세포 불멸화를 유도한다.

2. 저위험 HPV 감염에 따른 세포병리학적 변화

저위험 HPV 감염은 주로 양성 병변을 유발하며, 자궁경부 세포진검사에서 경미한 이상 소견으로 관찰된다. 세포학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경미한 핵 이형성(Mild nuclear atypia): 핵의 크기가 다소 증가하지만, 고위험 HPV 감염 시 나타나는 심한 비대는 관찰되지 않는다.
  • 코일로사이트 형성(Koilocytosis): HPV 감염의 대표적 소견으로, 핵 주변의 명확한 투명대(clear halo)가 특징적이다.
  • 세포질 변화: 세포질의 과각화(hyperkeratosis)나 공포화(vacuolization)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HPV 감염에 대한 숙주 반응을 반영한다.
  • 염증 및 반응성 변화: 저위험 HPV 감염은 종종 국소적인 염증 반응을 동반하며, 이는 편평상피세포의 반응성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임상적으로 저위험 HPV 감염은 대부분 자연 소멸되며, 악성화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주된 관리 전략이 된다.

3. 고위험 HPV 감염에 따른 세포병리학적 변화

고위험 HPV 감염은 지속될 경우 자궁경부암 전구 병변을 유발할 수 있으며, 병리학적으로 중요한 변화가 관찰된다.

  • 심한 핵 비대 및 이형성(Severe nuclear atypia): 핵이 현저히 비대해지고, 다형성(polymorphism)이 증가한다.
  • 비정상적인 핵분열(Atypical mitosis): 다극성 분열(multipolar mitosis)이나 비정상적인 유사분열상이 관찰될 수 있으며, 이는 암세포의 증식을 반영한다.
  • 고급형 이형성(High-grade dysplasia): CIN 2~3 단계에서 관찰되며, 기저층의 세포가 상부로 확장되면서 정상적인 분화가 감소한다.
  • 세포질 감소 및 핵-세포질 비율 증가: 정상적인 분화가 억제되면서 세포질 양이 줄어들고, 핵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진다.
  •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 및 p53, Rb 억제: HPV의 E6 단백질은 p53을, E7 단백질은 Rb 단백질을 분해하여 세포 주기 조절을 방해한다. 이로 인해 세포는 지속적으로 증식하고, 종양 형성이 촉진된다.

고위험 HPV 감염이 지속되면 자궁경부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결론: 저위험 vs 고위험 HPV 감염의 임상적 의미

저위험 HPV와 고위험 HPV는 병리학적 변화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특히 고위험군 HPV 감염은 세포 주기의 조절을 방해하여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이 된다. 저위험 HPV 감염은 대개 자연 소멸되지만, 고위험 HPV 감염은 지속될 경우 자궁경부암 전구 병변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HPV 감염 여부를 조기에 진단하고, 정기적인 자궁경부 세포진검사(Pap smear) 및 HPV DNA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고위험군 HPV 예방을 위한 백신 접종이 필수적이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HPV 관련 질환의 병리 기전을 더 깊이 이해하고 효과적인 치료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